반응형 nato 음성 알파벳1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 에코’ vs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람다 입실론’: 포네틱코드, 그리스문자 기호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 에코’ vs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람다 입실론’: 포네틱코드, 그리스문자 기호스승의 날 노래와 어버이날 노래를 둘 다 알고 있다 보면, 어느 순간 스승의 날 노래를 부르다가 어버이날 노래로 끝날 때가 있습니다.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 에코’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람다 입실론’도 비슷한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무선 교신에서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라는 구호를 들으면 우리는 즉시 군사·항공 통신을 떠올립니다. 반면 수학·물리학 교재에서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와 같은 그리스 문자가 자연스럽게 등장하죠. 둘 다 "알파"로 시작하고 중간에 델타가 같기 때문에, 델타 다음부터는 헷갈리기 시작합니다.이름은 비슷하지만 탄생 배경, 사용 환경, 목적이 전혀 다른 두 체계가 공존하.. 2025. 6.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