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공무원 봉급 인상률, 군인 월급 2026 교사 호봉표
2026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3.5%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17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인상률이며, 최근 몇 년간 민간 임금과 공무원 임금 간 격차 확대에 따른 불만을 반영한 조치입니다. 2021년 0.9%라는 최저 인상률 이후, 2022년 1.4%, 2023년 1.7%, 2024년 2.5%, 2025년 3.0%로 점차 상승세를 보이다가 드디어 2026년에 3.5%로 상향 조정된 것입니다.
이번 인상은 일반직 공무원뿐 아니라 경찰, 소방, 교사, 군인 등 모든 공직자들에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각 직렬별 봉급표와 월급 수준을 자세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026 공무원 봉급 인상률 3.5%
정부는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년 예산안’을 통해 2026 공무원 봉급 인상률을 3.5%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봉급 인상만을 의미하지 않고, 공직 사회의 사기 진작과 인재 유입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은 2020년 90% 수준에서 2024년에는 83.9%까지 떨어진 상황이었기에, 이번 조정은 격차를 다소 완화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공무원 봉급표 2026 (일반직렬)
2026년 일반직렬 공무원의 봉급표는 호봉과 직급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 1급 공무원 1호봉: 4,656,100원
- 4급 공무원 10호봉: 4,497,700원
- 7급 공무원 1호봉: 2,249,700원
- 9급 공무원 1호봉: 2,070,900원
신규 임용되는 9급 1호봉 공무원의 초봉은 약 207만 원으로, 여기에 직급보조비, 정근수당, 가족수당 등이 추가됩니다. 실수령액은 세전 250만 원 내외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교육공무원 봉급표 2026 (교사 호봉표)
교사의 급여는 호봉제에 따라 올라가며, 승진과 근속 연수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 1호봉: 1,982,100원
- 10호봉: 2,471,400원
- 20호봉: 3,481,000원
- 30호봉: 4,826,800원
- 40호봉: 6,205,700원
즉, 신규 임용되는 초등학교/중학교 교사의 초봉은 약 200만 원 수준이지만, 장기 근속 후에는 600만 원을 넘어섭니다. 또한 교사들은 정근수당, 담임수당, 교직수당 등의 각종 수당을 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월급은 봉급표보다 더 많습니다.
2026 경찰·소방 공무원 봉급표
경찰·소방 공무원의 봉급은 직급과 호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책정됩니다.
- 순경(1호봉): 2,000,900원
- 경장(10호봉): 2,823,400원
- 경위(1호봉): 2,352,400원
- 경감(5호봉): 3,498,100원
- 총경(1호봉): 3,496,600원
신규 임용되는 순경과 소방사의 기본급은 약 200만 원 수준으로, 여기에 위험근무수당, 시간외수당, 특수업무수당 등이 추가되어 실수령액은 250~280만 원 수준입니다.
특히 경찰과 소방은 교대근무·위험업무 특성이 반영되어 다양한 수당이 붙는 만큼, 호봉만으로는 실제 월급을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2026 군인 월급
군인의 월급은 장교·부사관·병사로 나뉘어 있습니다.
- 소위 1호봉: 2,087,900원
- 대위 5호봉: 3,329,900원
- 소령 1호봉: 3,382,700원
- 중령 5호봉: 4,733,900원
- 대령 1호봉: 4,671,200원
- 준장 1호봉: 5,753,700원
- 소장 1호봉: 6,099,000원
부사관은 상사 1호봉이 약 246만 원, 원사 1호봉은 356만 원 수준이며, 병사의 경우 병장 기준으로 월 100만 원 이상이 지급됩니다. 이는 병사 봉급 현실화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결론
2026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 3.5%는 단순한 급여 인상이 아니라 공직 사회 전반의 경쟁력과 사기 진작에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 일반직 공무원: 신규 9급은 약 207만 원
- 교육공무원(교사): 신규 교사 약 198만 원, 최고 620만 원대
- 경찰·소방: 순경 초봉 약 200만 원, 다양한 수당 포함 시 250만 원 이상
- 군인: 소위 208만 원, 대위 280만 원대, 병장은 100만 원 이상
이처럼 직군별 격차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과거 대비 크게 개선된 모습입니다. 다만 민간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은 존재하며, 장기적으로는 보수 수준의 경쟁력 확보와 직무환경 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경제 직업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복지카드 사용처, 복지포인트 계산 방법 (0) | 2025.08.27 |
---|---|
소방 계급체계, 계급표, 직급체계 완전 정리 (0) | 2025.08.12 |
사무관 급수 직위 직급 체계 (0) | 2025.08.06 |
임기제, 시간선택제 공무원 월급, 학교 당직전담직원 급여 (0) | 2025.08.05 |
공무원 여비규정 (0)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