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군사 군대

이지스함 정조대왕함 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 류성룡함, 충무공이순신함, 문무대왕함, 광개토대왕함 - 한국 해군 군함 종류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상륙함 독도함, 마라도함

by 하누혀누3 2025. 7. 20.
반응형

대한민국 해군 구축함·호위함·초계함·상륙함 완벽 가이드 (2025년 기준)

이지스함 정조대왕함 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 류성룡함, 충무공이순신함, 문무대왕함, 광개토대왕함 - 한국 해군 군함 종류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상륙함 독도함, 마라도함

대한민국 해군(ROKN)은 21세기 들어 ‘대양해군’이라는 장기 비전을 내세우며 전력 증강을 거듭해 왔습니다. 30년 전만 해도 3,000톤급 함정조차 귀했던 우리 해군은 이제 1만 톤급 이지스 구축함을 다수 운용하며, 최신예 호위함·상륙함까지 고르게 배치해 주변 해역뿐 아니라 먼바다에서의 연합·단독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함(艦)·정(艇)의 구분, 구축함(KDX 시리즈)·호위함(FFX 시리즈)·초계함(PCC)·상륙함(LPX·LST)의 계보와 현황, 그리고 함명·제원·운용 전략까지 총망라합니다.


함(艦)과 정(艇)의 기본 구분

한국 해군 군함 종류

  • 함(Ship) : 만재배수량 500톤 이상. 구축함·호위함·상륙함·잠수함 등이 포함됩니다.
  • 정(Boat) : 만재배수량 500톤 미만. 고속·유도탄·순찰·방어 역할을 수행하는 미사일정(PKM)·순찰정(PKM) 등이 대표적입니다.

함명은 대체로 역사적 위인·왕·지명·산봉우리·도서(섬) 등 대한민국의 문화·지리·국가 정체성을 반영하여 선정되며, 진수식에서 공식 부여됩니다.


구축함 (DESTROYER) : 해상 전투의 핵심

KDX-III Batch-II 정조대왕급 (8200톤) – 최신형 이지스 체계

차세대 이지스함 1호 정조대왕함  해군의 첫 8200t급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인 정조대왕함

  • DDG-995 정조대왕함 (2024년 취역)
  • DDG-996 이순신함 (2026년 인도 예정)
  • DDG-997 미정 (2027년 목표)
    특징 : 탄도탄 요격용 SM-6, 한국형 장거리 함대공미사일(L-SAM 해상형), KVLS-II 탑재. 향후 6척으로 확대 예정.

KDX-III Batch-I 세종대왕급 (1만톤)

  • DDG-991 세종대왕함
  • DDG-992 율곡이이함
  • DDG-993 서애 류성룡함
    특징 : VLS 128셀(미국 Mk-41 80셀 + KVLS 48셀)로 동급 최대 무장, SPY-1D(V) 레이더, 해상·지상·대공 표적 동시 교전.

KDX-II 충무공이순신급 (5600톤)

  • DDH-975 충무공이순신함
  • DDH-976 문무대왕함
  • DDH-977 대조영함
  • DDH-978 왕건함
  • DDH-979 강감찬함
  • DDH-981 최영함
    특징 : 한국형 수직발사기(KVLS) 16셀, Mk-41 32셀, 탐색·추적용 SMART-S/스파이더 레이더, 127mm 함포.

DDH-975 충무공이순신함(좌) 구축함 DDH-972 을지문덕함(우)
DDH-975 충무공이순신함
DDH-976 문무대왕함
DDH-977 대조영함  DDH-977 ROKS Dae Jo-yeong Destroyer DDH Korean Navy ROKN

KDX-I 광개토대왕급 (3900톤)

구축함 DDH-971 광개토대왕함

  • DDH-971 광개토대왕함
  • DDH-972 을지문덕함
  • DDH-973 양만춘함
    특징 :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구축함, 대잠·대공·대함 3중 임무 수행, Goalkeeper CIWS 2문.

구축함 DDH-972 을지문덕함
구축함 DDH-973 양만춘함
구축함 DDH-973 양만춘함


호위함 (FFG) : 중형 기동 다목적 전력

FFX-I 인천급 (2700톤)

FFG-811 인천함  FFG-816 인천급 호위함 충북함

  • FFG-811 인천함, FFG-812 경기함, FFG-813 전북함, FFG-814 강원함, FFG-815 충북함, FFG-817 광주함

특징 : RAM·KVLS 혼합 방어, 127mm 함포, K745 청상어 경어뢰, 대함 순항미사일 해성*.

FFX-II 대구급 (3800톤)

  • FFG-818 대구함, FFG-819 경남함, FFG-821 서울함, FFG-822 동해함, FFG-823 대전함, FFG-825 포항함, FFG-826 천안함, FFG-827 춘천함


특징
: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 소나돔·토드 어레이로 향상된 대잠 능력, 16셀 KVLS-I(K-SAAM·홍상어), 127mm 함포.

FFX-III 충남급 (4300톤, 2024년 이후)

  • FFG-828 충남함 (시운전 중) 등 6척 계획. 차세대 통합마스트, 레이더·전자전 국산화율 90% 이상.

초계함 (PCC) : 연안 방어의 최전선

  • 포항급 : 24척 건조, 현재 10척 현역(부천함·원주함·순천함 등). 76mm 함포·오토멜라라·SSM 해성*, 기동성이 뛰어나 서해 북방한계선(NLL) 경계에 투입.
  • 윤영하급 고속함(PKM-A) : 참수리급 대체, 450톤, HSU-60 해성 II 탑재, 40노트 고속.
  • 참수리급 고속정(PKM) : 퇴역 진행 중이나 일부 개조형은 해·공 합동 훈련 지원.

상륙함 (LPX·LST) : 해병대 기동과 상륙작전의 중추

대형수송함 독도급 (LPH)

LPH 611 독도함,  LPH 612 마라도함

  • LPH-6111 독도함 : 14,500톤, 길이 199m, 해병 720명·전차 10대·KAAV 7대·LCAC 2척·헬기 10대 수용.
  • LPH-6112 마라도함 : 2021년 취역, 길이 200m, V-22 Osprey 2기 운용 가능, K-VLS 탑재로 대공 방어 강화.

LST-I 고준봉급

  • LST-681 고준봉함, LST-682 비로봉함, LST-683 향로봉함, LST-685 성인봉함
    2,000톤, 121명 승조·해병 240명·전차 12대·헬기 1대, 상륙작전과 재해구호에 투입.

LST-II 천왕봉급

  • LST-686 천왕봉함, LST-687 천자봉함, LST-688 일출봉함, LST-689 노적봉함
    4,500톤, 길이 127m, Landing Craft 3척·헬기 2대, RWS 40mm·MASS 체계로 자가방어 능력 향상.

고속상륙정 솔개급 (LSF)

  • 물오리형 에어쿠션(LCAC)·수면 40노트, 도서점령·해병대 기습투입 임무.

향후 계획 및 전력 전망

  1. KDDX(미니 이지스) 6척 – 2030년대 중반까지 배치, 한국형 통합마스트·KVLS-III 탑재.
  2. LPX-II 경항모(3만톤급) – F-35B 20대 운용 가능, 2033년 이후 전력화 목표.
  3. 잠수함 장보고-III Batch-II (Block-2) – SLBM 10셀, 수중배수량 4,000톤.

맺음말

대한민국 해군은 이지스 구축함부터 신형 호위함·고속 초계함·대형 상륙함까지 전 분야에 걸쳐 첨단화를 이뤄냈으며, 2020년대 중후반에는 KDDX·LPX-II 등 전략자산이 추가되면서 ‘원양 복합기동군’을 완성할 전망입니다. 해상교통로 보호, 연합·국제 평화유지, 대북 억제, 해양 재난구호 등 다중 임무를 수행하며 한반도와 동북아 해양안보의 중추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반응형